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도움이되는식품

혈당을 떨어뜨리는 효과가 우수한 고춧잎 원기2호

by 레아포스트 2022. 10. 4.
반응형

고령화 추세에 따라 당뇨병의 사회, 경제적 부담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농촌진흥청이 잎에 혈당을 떨어뜨리는 성분이 많은 '잎 전용 고추 품종'을 개발하고 채소 섭취를 통한 혈당 관리 가능성을 제시했다.

당뇨병은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므로, 꾸준한 관리와 치료를 필요로 한다.

잎 전용 고추 원기 2호

 

당뇨병 치료제 중 하나인 '알파글루코시데이즈 인히비터(AGI, α-glucosidase inhibitor)'는 탄수화물을 흡수하는 효소인 알파글루코시데이즈를 막아 혈당 상승을 억제함으로써 당뇨병, 비만, 과당증 등 성인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원리로 식사 후 고혈당을 억제하는 의약품이 개발돼 시중에서 판매 중이다.

농촌진흥청은 고춧잎에 혈당 상승 억제(AGI) 활성이 높다는 점에 착안하여, 850여 점의 고추 유전자원을 대상으로 혈당 상승 억제(AGI) 활성을 분석하고 2008년 기존 고추 품종보다 잎에 혈당 상승 억제(AGI) 활성이 약 4배 높은 원기1호를 개발했다.
이어 지난해에는 조직 배양을 통해 원기1호보다 혈당 상승 억제(AGI) 활성이 약 3배 높은 원기2호를 육성하는 데 성공했다.

 

원기 2호

분석 결과, 원기2호의 혈당 상승 억제(AGI) 활성은 74.8%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당뇨병 치료 약 아카보스(80.2%) 못지않게 혈당 상승 억제(AGI)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연구진은 원기2호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항당뇨, 항비만 유효성을 평가하는 실험을 했다.
원기2호의 잎 추출물을 당뇨병을 유발한 동물(쥐)에 8주간 투여한 결과, 공복 혈당, 복강 내 당부하, 당화혈색소, 혈장 인슐린 농도, 혈중 지질 등 11개 지표가 당뇨병을 유발한 뒤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개선됨을 확인했다.

원기2호의 잎은 일반 고춧잎처럼 나물이나, 장아찌, 전 등 다양하게 조리해 먹을 수 있다. 열매도 일반 풋고추처럼 섭취할 수 있고 재배 방법도 비슷하다.

원기2호는 현재 국립종자원에 품종 출원 후 보호 등록을 위한 재배심사를 진행 중이며 보호 등록 전 이른 시기에 보급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 민간종묘회사 등에 통상 실시를 추진하고 있다. 관련 연구 결과는 지난해 국제학술지 메타볼라이트(metabolites)에 실렸다.
우리나라에서는 열매 생산을 목적으로 고추를 재배하며, 잎이나 줄기는 재배가 끝나면 버리는 부산물로 여겨졌다.
이번 연구는 고춧잎에 기능 성분이 많다는 것을 확인하고 일반 품종보다 기능성이 높은 품종을 만듦으로써, 고춧잎의 식품 원료로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원기2호(20AGI29) AGI 저해도 활성비교 / Acarbose(시판중인 당뇨병 치료제)

 

농촌진흥청은 이번에 소개한 잎 전용 고추 원기2호는 흔히 부산물로 취급되는 고춧잎에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기능 성분이 풍부한 점에 착안해 개발했다며, 앞으로도 기능 성분을 함유한 채소 품종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겠다고 전했다.

 

원기 2호 품종 특성

교배조합

FR1/FR2 조합 유래 약배양 고정계통

주요특성

  • 고춧잎에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α-glucosidase inhibitor(AGI) 활성이 높은 기능성 계통
  • 잎의 AGI 활성이 기존에 육성된 혈당강하 기능성 품종 원기 1호 대비 2.9배 높음
  • 과중은 10.9g, 과장 10.2cm, 엽장 13.0cm, 엽폭 5.0cm 정도임
  • 재배적 특성은 기존 시판종 품종들과 동일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