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노로바이러스4 개인위생 관리로 겨울철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예방 관리 식품의약품안전처는 겨울철에 발생이 증가하는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예방과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개인 위생관리 등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노로바이러스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 등을 섭취할 경우 식중독을 일으키는 장관계 바이러스로 영하 20도에서도 생존 가능 최근 5년간(2018년 ~ 2022년, 잠정)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발생 현황을 분석한 결과 총 245건이 발생했으며 특히, 겨울철인 12월부터 이듬해 2월까지 발생한 식중독 건수는 102건으로 전체의 약 4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발생의 주요 원인 식품은 익히지 않은 어패류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그 외에는 채소류와 지하수 순이었다.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은 오염된 음식과 물(지하수)을 섭취하였거나 환자의 구토물, 오염된 손.. 2023. 11. 30. 겨울철 주로 발생하는 노로바이러스 식중독 예방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주로 겨울철에 발생이 증가하는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10월 16일부터 11월 3일까지 지자체와 함께 전국 어린이집 집단급식소 4,400여 개소의 위생관리 실태를 집중 점검한다고 밝혔다.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 등을 섭취할 경우 식중독을 일으키는 장관계 바이러스로 영하 20도에서도 생존 가능하여 겨울철에 자주 발생한다. 점검과 함께 급식용 조리도구, 조리식품 등을 수거 검사하여 식중독균 오염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며, 올바른 손씻기 방법, 노로바이러스 환자의 구토물 소독과 처리 방법 등 식중독 예방수칙과 노로바이러스 예방법에 대한 교육 홍보를 병행 실시한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특정 시기에 증가할 수 있는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집단급식소에 대한 사전점검을 지속적으.. 2023. 10. 6. 겨울철 식중독 예방(노로 바이러스 등)을 위한 예방수칙 등 강조 식약처는 겨울철 노로바이러스로 인해 발생하는 식중독 예방법을 홍보하고 일상생활에서 예방 수칙 준수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현장 캠페인을 진행하였다고 밝혔다. 참고로 최근 5년간(17~21년) 식중독 발생 현황을 보면 여름철에는 세균성 식중독(살모넬라 등)이 많이 발생하고, 겨울철에는 바이러스성 식중독(노로바이러스)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로바이러스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 등을 통해 섭취할 경우 식중독을 일으키는 장관계 바이러스로 영하 20℃에서도 생존 가능해 겨울철에 자주 발생 노로바이러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손씻기, 끓여먹기, 익혀먹기, 세척 및 소독하기 등의 일상생활에서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손 씻기 노로바이러스는 입자가 작고 표면 부착력이 강하므로 비누 등 세정제를 이용하여.. 2022. 11. 28. 영유아 노로바이러스,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증가 등 예방수칙 중요 질병관리청은 영유아에서 '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및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증'의 발생 증가로, 적극적인 예방수칙 준수 당부하였다. 평상시 : 손씻기, 안전하게 조리된 음식 먹기, 물 끓여 마시기 등 예방수칙 준수 발생 시 : 환자의 구토물, 접촉환경, 사용한 물건 등 염소 소독(가정용 락스 희석액 등) '노로바이러스 감염증'의 경우 학교나 보육시설에서 환자 발생 시 증상소실 후 최소 48시간 이상 집단생활 제한 권고 전국 208개 표본감시기관에서의 22년 24주(6월 5일 ~ 6월 11일)에 노로바이러스 감염 신고 환자 수는 총 142명,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신고 환자 수는 103명으로, 4월 넷째 주(4월 17일 ~ 4월 23일) 이후 지속 증가 추세에 있었다. 특히, 22년 24주에 신고된 환.. 2022. 10. 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