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도움이되는식품

갯기름나물 새순의 항염증 효과, 세포 실험 결과 새순 추출물 염증 인자 발현 낮춰

by 레아포스트 2024. 2. 29.
반응형

갯기름나물은 잎과 줄기를 데친 뒤 각종 양념에 무쳐 먹는 대표적인 봄나물이다. 특히 두통, 신경통, 중풍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갯기름나물

  • 전남 여수 금오도 일대에서 국내 90% 이상 생산되며, 주로 3월 초~4월 말까지 생산됨
  • 뿌리는 한약재로 이용되고 봄철 연한 새순은 나물로 소비됨

 

농촌진흥청은 지난해 갯기름나물 뿌리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한 데 이어 이번에 새순에서도 같은 효과를 입증, 국제학술지 3편에 실리는 성과를 거뒀다.

  • 민족약리학저널(2023년 3월 게재)
  • 헬리욘지(2023년 10월 게재)
  • 식물지(2023년 10월 게재)

 

이번 연구는 갯기름나물 새순의 소비를 늘리고, 활용 방안을 찾기 위해 전주대학교와 공동으로 수행했다.
연구진은 갯기름나물 새순 추출물과 갯기름나물의 주요 성분인 시스-켈락톤, 디세네시오닐 시스-켈락톤의 항염증 효능을 세포 실험으로 평가했다.

실험 결과, 이들 시료는 세포에서 7개 염증 인자 발현을 저해했고, 2개 항염증 인자 발현은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디세네시오닐 시스-켈락톤은 혈관 생성과 항염증에 뛰어난 효능을 보였다.

  • 염증 인자인 산화질소(NO), iNOS, PGE2, COX-2, IL-6, TNF-α, NF-kB를 저해
  • 항염증 인자인 HO-1, Nrf2는 증가하게 함

 

농촌진흥청은 이번 연구 결과를 갯기름나물 새순을 활용한 건강 기능성 식품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나아가 갯기름나물의 효능 연구를 지속해 농가 소득 증대도 도모할 계획이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연구가 주로 나물로만 먹던 갯기름나물의 소비처를 다양화하고, 기능성 원료로써 널리 활용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전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