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도움이되는식품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리그난이 많은 참깨, 흰무늬엉겅퀴, 오미자에 풍부

by 레아포스트 2024. 4. 8.
반응형

농촌진흥청은 경성대학교와 함께 리그난이 풍부한 농산물을 탐색했으며, 리그난 고함유 농산물로 참깨 씨앗과 흰무늬엉겅퀴(밀크씨슬) 씨앗, 오미자 열매를 찾아 관련 정보를 상세히 제공했다.

참깨 씨앗

주요 리그난 성분으로 세사민(sesamin), 세사몰린(sesamolin), 세사몰(sesamol), 피노레시놀(pinoresinol) 등이 확인됐다.
이들은 참기름 산패를 억제해 저장 안정성을 높이고, 면역기능 강화, 간세포 보호와 해독 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흰무늬엉겅퀴(밀크씨슬) 씨앗

흰무늬엉겅퀴 씨앗에는 실리빈 A(silybin A)와 B(silybin B), 이소실리빈 A(isosilybin A)와 B(isosilybin B)를 주요성분으로 하는 플라보노-리그난 유도체 10여 종이 함유돼 있었다. 이 성분들은 간 기능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됐다.

오미자 열매

쉬잔드린스 A, B, C(schizandrins A, B, C), 고미신스 A~H(gomisins A, B, C, D, E, F, G, H) 등 리그난 성분 20여 종이 들어 있었다.
성분 함량은 전체 무게의 약 2%에 달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항당뇨, 간 기능 회복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참깨 씨앗에는 753mg, 흰무늬엉겅퀴 씨앗에는 4,230mg, 오미자 열매에는 2,011mg의 리그난이 함유돼 있었다.(건조중량 100g 기준)
이는 리그난이 풍부하다고 알려진 아마씨보다 많은 양이다.

리그난은 식품에 함유된 페놀화합물 중 하나로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암 예방, 갱년기 증상 완화, 혈당조절, 갑상샘 기능 개선, 심혈관 건강증진 등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농촌진흥청은 연구 결과를 '식품산업과 영양(한국식품영양과학회 발간)'에 게재했으며, 2026년까지 우리 농식품 700점의 리그난 정보를 추가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2026년부터 농식품종합정보시스템 '농식품올바로(koreanfood.rda.go.kr)'에서 식품별 함량 등 화합물 상세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리그난

  • 식물성 에스트로겐, 리그난

리그난은 페놀화합물로서 구조 특성상 강한 항산화 활성(라디컬 소거능), 식물성 에스트로겐(phytoestrogen)으로서의 활성이 있으며 건강기능성 소재의 유효성분으로서의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Heinonen 등, 2001).

천연 리그난 자체는 에스트로겐 수용체를 활성화시키는 성질이 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리그난의 장내 대사물인 enterodiol(END) 또는 enterolactone(ENT) 등의 엔테로리그난(enterolignan)은 체내에서 에스트로겐을 모사하는 성질을 갖는 것으로 보고됨(Cornwell 등, 2004).

따라서 천연 리그난은 엔테로리그난들로 전환되어 식물성 에스트로겐으로서 암 예방, 안면 홍조 등의 갱년기 증상 완화, 혈당조절, 갑상샘 기능개선, 심혈관 건강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보고가 있음(Penttinen 등, 2007).

국외 리그난 정보 구축 현황은 2003년 핀란드에서 리그난을 포함한 phytoestrogen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시작하였으며, 일본, 유럽 등 주요 국가는 주요성분 6종에 대해서만 리그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으나 리그난 전반에 관한 상세정보는 매우 제한적임.

참깨

종자에서 화합물 sesamin, sesamolin, sesamol, pinoresinol 등이 확인되었고, 특히, sesamin과 sesamolin은 주요 리그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참기름의 산패를 억제하여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면역기능 강화, 간세포 보호 및 해독 작용 등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었음.

밀크씨슬

Milk Thistle(Silybum marianum) 종자는 silybin A, silybin B, isosilybin A, isosilybin B를 주요성분으로 한 10여종의 플라보노-리그난(flavono-lignan) 유도체를 다량 함유한 것으로 확인함. 이들 성분은 간기능 개선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됨.

오미자

열매의 주성분으로는 schizandrins A-C, gomisins A-H, gomisins J-K, schisandrin, gomisin A, gomisin N 등이 확인되었으며, 이들 성분의 함량은 전체중량의 약 2% 가까이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 기존 연구에 따르면, 항당뇨, 알츠하이머 질병 예방, 간 기능 회복 등의 효과가 알려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