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정보/감염병

동남아 방문 시 지카바이러스 감염 주의 당부

by 레아포스트 2022. 11. 8.
반응형
최근 동남아시아 방문 후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2명 확진

 

질병관리청은 최근 필리핀, 태국 방문 후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에 감염되는 사례가 잇달아 발생함에 따라, 동남아시아 방문 시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에 감염되지 않도록 예방주의를 당부하였다.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은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숲모기에 물린 후 3~14일의 잠복기를 거쳐 반점구진성 발진과 발열, 결막충혈, 관절통, 근육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모기에 의한 감염 외에도 성접촉, 수혈, 모자간 수직감염, 실험실 등을 통해서도 감염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은 WHO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89개국에서 자생적 모기매개 전파의 증거가 확인되었으며, 동남아 지역은 모든 국가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자체 발생 국가에 해당한다.

국외 발생국가 현황

구분 현재 혹은 이전 전파 국가 및 영토
아프리카(AFRO) 앙골라, 부르키나파소, 부룬디, 카보베르데, 카메룬, 중앙아프리카공하국, 코트디부아르, 에티오피아, 가봉, 기니비사우, 케냐, 나이지리아, 세네갈, 우간다
미주(AMRO/PAHO) 앵귈라, 앤티가바부다, 아르헨티나, 아루바, 바하마, 바베이도스, 벨리즈, 볼리비아, 카리브 네덜란드, 세인트유스타티우스 사바, 브라질,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케이맨 제도,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쿠바, 퀴라소, 도미니카연방, 도미니카공화국,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프랑스령 기아나, 그레나다, 과들루프, 과테말라, 가이아나, 아이티, 온두라스, 칠레(이스터섬), 자메이카, 마르티니크, 멕시코, 몬트세라트, 니카라과, 파나마, 파라과이, 페루, 푸에리토리코, 생바르텔레미, 세인트키츠네비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마틴, 세인트빈센트그레나딘, 신트마르틴, 수리남, 트리니다드 토바고, 터크스케이케스 제도, 미국,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베네수엘라
동남아시아(SEARO) 방글라데시, 인도, 인도네시아, 몰디브, 미얀마, 태국
서태평양(WPRO) 미국령사모아, 캄보디아, 쿡섬, 피지,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라오스, 마셜제도, 말레이시아, 마이크로네시아, 뉴칼레도니아, 팔라우, 파푸아뉴기니, 필리핀, 사모아, 싱가포르, 솔로몬제도, 통가, 바누아투, 베트남
유럽(EURO) 프랑스

 

올해 현재까지 국내 확진된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는 모두 2명으로 각각 필리핀, 태국 방문 후 확진된 사례이다.

첫 확진사례는 20대 남성으로, 8월 말 필리핀 방문 시 모기물림이 있었고, 귀국 후 1주일째 발진, 발열, 설사 등 증상으로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두 번째 환자는 30대 남성으로, 10월 중순 태국에 방문하여 모기에 물렸으며, 입국 5일째 발진, 발열, 관절통, 근육통, 비화농성 결막염/결막충혈 증상이 있어 의료기관 내원 후 양성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는 매년 10명 내외로 해외유입되고 있으며, 지난 2년간 해외 방문 감소로 환자 발생이 거의 없었으나 올해 다시 발생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은 동남아 등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발생 국가 방문을 계획하고 있는 국민에게 다음과 같은 예방수칙을 숙지해 줄 것을 각별히 당부하였다.
지카바이러스 감염증은 현재 예방백신 및 치료제가 없으므로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여행 후에도 남녀 모두 3개월간 임신 연기 및 콘돔 사용 등 성접촉을 피해야 한다.
아울러 만약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위험국가에서 모기물림 후 2주 이내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료진에게 최근 방문력을 알리고 신속한 진단 및 치료를 받아야 한다.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수칙

방문 전

  • 방문지역별 주의해야 할 감염병 정보 확인하기
  • 모기 예방법을 숙지하고 모기기피 용품 및 상비약 준비하기
  • 모기 기피제, 모기장, 모기향, 밝은색 긴팔 상의 및 긴 바지 등

방문 중

  • 모기가 많이 있는 풀 숲 및 산 속 등은 가급적 피하기
  • 외출 시 긴 팔 상의와 긴 바지를 착용하고, 모기 기피제 사용하기
  • 모기는 어두운색에 유인되므로, 활동 시 밝은색 옷 착용하기
  • 방충망 또는 모기장이 있고 냉방이 잘 되는 숙소에서 생활하기

방문 후

  • 귀국 후 2주 이내 의심증상(발진, 발열, 결막염, 관절통, 근육통, 두통 등)이 발생하면 가까운 의료기관 방문하기
  • 의료기관 방문 시 의료진에게 최근 해외 방문력을 알려주기
  • 헌혈 보류기간(4주) 동안 헌혈을 금지하기
  • 남녀 모두 3개월간 임신 연기 및 콘돔 사용 등 성접촉 피하기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구분 내용
정의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감염에 의한 질환
질병분류 제3급 법정감염병
병원체 지카바이러스(Zika virus) - family Flaviviridae genus Flavivirus
병원소 - 모기
- 사람 및 영장류(Nonhuman primate)
매개체 숲모기류(Aedes aegypti, Aedes albopictus 등)
전파경로 -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매개모기를 통해 전파
- 기타전파 : 성접촉, 수직감염, 수혈감염 가능
잠복기 3 ~ 14일
임상증상 - 반점구진성 발진과 함께 다음 증상 중 2개 이상 증상 동반
- 발열, 비화농성결막염/결막충혈, 관절통, 근육통. 관절주의 부종 등
- 대부분 경미하게 진행, 감염되어도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불현성 감염자가 80%
- 신경학적 합병증(길랭-바레 증후군) 등의 중증 합병증 발생 가능하나 드물게 보고됨
- 임신부가 감염되었을 경우 신생아 소두증과 연관이 있음이 보고됨
치사율 극히 낮음
실험실 검사 확인진단
- 검체(혈액, 소변 등)에서 Zika virus 분리
- 회복기 혈청의 항체가가 급성기에 비하여 4배 이상 증가
- 검체(혈액)에서 특이 항체 검출
- 검체(혈액, 소변 등)에서 특이 유전자 검출

추정진단
- 검체(혈액)에서 ELISA를 이용하여 특이 IgM 항체 검출
치료 - 충분한 휴식 및 수분 섭취하면 대부분 회복
- 통증 등 증상이 지속할 경우 대증치료
환자관리 환자 : 격리 필요 없음
예방 -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
- 모기노출 방지 : 방충망, 모기장, 기피제 사용, 긴 소매, 긴 바지를 입어 노출 부위 최소화
- 백신은 없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