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은 수해로 인한 감염병 예방을 위해 안전한 물과 음식물을 섭취하고, 손 씻기 등 위생수칙을 철저히 지켜줄 것을 당부하였다.
수해발생 지역에서는 하수도의 범람 등으로 오염된 물을 통한 장티푸스, 세균성 이질, A형 간염, 장관감염증(노로바이러스 감염증 등)과 같은 수인성 식품매개 감염병이 유행할 수 있다.
수인성 식품매개감염병 예방을 위해 조리전 후와 식사 전에는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도록 하고, 안전한 물(포장된 생수나 끓인 물)과 충분히 가열한 음식물을 섭취해야 한다.
특히 설사나 구토 등의 증상이나 손에 상처가 있는 경우 식재료 세척 등 조리과정에 참여하지 않도록 하며, 물이 닿거나 일정시간(약 4시간) 이상 냉장이 유지되지 않은 음식은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식품의 올바른 보관이 어려워짐에 따라 식중독 발생 위험이 높아지므로 조리수칙 및 개인위생수칙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수해로 오염된 지역에서는 유행성 눈병(유행성각결막염, 급성출혈성결막염)이나 피부병도 주의하여야 한다.
피부가 오염된 물에 노출되면 피부병이 발생할 수 있어, 침수지역에서 작업 시 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방수복과 긴 장화를 착용하고, 물에 노출된 피부는 반드시 깨끗한 물로 씻어내고, 수해복구 작업 중에는 충분히 수분을 섭취하고 휴식을 취해야 한다.
수해지역에서는 물 웅덩이등에서 모기가 증식하기 쉬운 환경이 조성됨에 따라 모기매개 감염병(말라리아 및 일본뇌염)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모기 유충의 서식지가 되는 물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 고인 물을 제거하고, 야간에 야외활동을 자제하며, 가정 내 모기장 사용 등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풍수해로 인한 이재민 임시 거주시설 또는 대피시설에 거주하는 경우, 밀집 환경으로 인해 코로나19 등 감염병 집단발생 예방을 위해 손 씻기, 마스크 착용 등 호흡기 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해야한다.
수해 발생시 감염병 예방수칙
- 손 자주 씻기(특히 외출 후, 식사 전, 배변 후, 30초 이상 올바른 손씻기)
- 끓인 물이나 안전하게 포장된 물을 마시되, 오염이 의심되는 경우 세척 혹은 폐기하기
- 음식물은 충분히 가열하여 섭취하며, 조리한 음식은 오래 보관하지 않도록 하고, 설사 증상이나 손에 상처가 있는 사람은 조리에 참여 하지 않기
- 집주변 물웅덩이 등 모기 서식지 제거, 야간 외출자제, 가정 내 모기장 사용, 외출 시 밝은색 긴 옷 착용 및 기피제 사용 등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주의
- 침수지역에서는 작업 시 피부가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방수복, 장화 활용) 노출된 경우 반드시 깨끗한 물로 씻어내기
눈이 불편할 경우 손으로 만지지 말고 안과 전문의 진료받기 - 발열, 설사가 있는 경우에는 진료 받고, 집단이 의심되는 경우 보건소에 신고하기
수인성 식품매개감염병
-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 끓인 물이나 포장된 안전한 물 마시기
- 오염이 의심되는 음식은 섭취하지 않기
- 음식은 충분히 익히고, 위생적으로 조리하기
- 설사, 구토 증상이나 손에 상처가 있는 경우 조리하지 않기
모기매개 감염병
- 야간(밤 10시부터 새벽 4시까지)에는 야외 활동을 가능한 자제
- 외출 시에는 모기 기피제 사용 및 밝은색 긴팔, 긴바지 착용하기
- 옥내의 모기침입 예방을 위해 방충망의 정비 및 모기장 사용을 권고하고,실내 살충제를 적절히 사용할 것
집주변 물 웅덩이 및 막힌 배수로 등 고인 물 제거하기 - 말라리아 발생지역 거주나 방문 시 모기에 물린 이후 발열, 오한 등의증상 발생하면 즉시 진료받기
유행성 눈병
-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 수건, 베개, 안약 등 함께 사용하지 않기
- 눈이 불편한 경우 손으로 만지지 말고 안과 전문의의 진료받기
- 환자는 사람이 많은 곳 피하기
피부병
-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 침수지역 작업 시, 보호복과 장화, 고무장갑 착용
- 물에 노출된 피부는 반드시 깨끗한 물로 씻어내기
- 수해 복구중에는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 취하기
'질병정보 > 감염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남아 방문 시 지카바이러스 감염 주의 당부 (0) | 2022.11.08 |
---|---|
동남아 지역 뎅기열 환자 발생 급증, 해당지역 방문 시 뎅기열 주의 (0) | 2022.11.07 |
가을철 야외활동 시, 쯔쯔가무시증 예방수칙 준수 등 조심 (0) | 2022.10.21 |
식중독 주의, 일교차 큰 가을철 나들이 시 식품 보관 및 섭취 주의 (0) | 2022.10.14 |
여름철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대비 식재료 취급 및 보관 주의 (0) | 2022.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