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

황사 위기경보 발령, 황사 발생 시 대응방법 요약

by 레아포스트 2022. 12. 13.
반응형

환경부는 12월 12일 황사 유입이 예상되어 대전 등 7개 시도에 12일 17시 기준으로 황사 위기경보 '관심' 단계를 발령했다.

이번 황사는 12월 11일 고비사막 및 내몽골 고원에서 발원했으며, 12일 우리나라에 유입되어 13일까지 영향을 미친 후 14일에는 원활한 대기 확산으로 인하여 해소될 것으로 예상된다.

초미세먼지(PM2.5)는 전국적으로 50㎍/㎥ 초과 지역은 없을 것으로 예상

 

국립환경과학원은 7개 시도에서 일평균 미세먼지(PM10) 농도가 150㎍/㎥를 넘는 '매우 나쁨' 수준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했으며, 이에 환경부는 해당 지역에 황사 위기경보 '관심' 단계를 발령했다.
미세먼지는 PM10은 직경이 10μm 이하인 입자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황사는 입자가 크기 때문에 PM10 농도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12월 13일, 황사 위기경보 관심 단계가 발령됨에 따라 환경부는 12일부터 상황반을 구성하여 관계 기관과 해당 지자체에 상황을 전파하고, 황사 대응 매뉴얼에 따라 대응할 것을 요청했다.

 

한편, 환경부는 황사 유입에 따른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황사 발생 대비 국민행동 요령을 국민들이 숙지하고 실천해주기를 요청했다.
각 가정에서는 황사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 등을 사전에 점검하고, 노약자 등 취약계층은 실외활동 자제 등이 필요하다.

환경부는 대전, 세종, 충북, 충남, 광주, 전북, 전남 등 대부분의 지역이 종일 황사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면서, 국민들께서는 외출을 최대한 자제해 주시고, 철저한 위생 관리 등 국민행동 요령을 준수해주길 요청드린다고 말했다.

 

황사 위기경보 단계 발령 기준

단계 발령기준
관심 - 우리나라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는 황사 발생
- 황사로 인한 미세먼지(PM10) '매우나쁨(일평균 PM10 150㎍/㎥ 초과)' 예보시
주의 - 황사로 인한 미세먼지 경보가 발령되고, 대규모 재난이 발생할 가능성이 나타날 때
- 미세먼지 경보 : PM10 시간당 평균농도가 300㎍/㎥이상 2시간 지속
경계 - 황사특보(경보)가 발령되고, 대규모 재난이 발생할 가능성이 농후할 때
- 황사특보 : PM10 시간당 평균농도가 800㎍/㎥이상 2시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심각 - 황사특보(경보)가 발령되고, 대규모 재난이 발생할 가능성이 확실할 때
- 황사로 인한 재난사태 선포기준 도달 예상 시
  - 미세먼지(PM10) 1시간 평균농도가 2,400㎍/㎥이상이 24시간 지속 후 24시간 지속 예상 시
  - 미세먼지(PM10) 1시간 평균농도가 1,600㎍/㎥이상이 24시간 지속 후 48시간 지속 예상 시

 

관계기관 주요 조치사항

  • 기상청, 과학원 : 황사 발생 현황, 이동경로, 미세먼지 농도 등 모니터링 강화
  • 국토부 : 공항시설 점검강화 등
  • 문체부 : 체육단체 등에 행동요령 전파
  • 노동부 : 옥외근무자 건강보호 전파, 홍보
  • 복지부 : 취약계층 건강보호 전파, 홍보
  • 산업부 : 산업계 피해방지대책 수립
  • 지자체 : 국민행동요령 전파 등

 

황사 발생 대비 국민행동 요령

황사발생 전(황사로 인한 미세먼지(PM10) '매우나쁨' 예보 시)

구분 주요내용
가정 - 황사가 실내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창문 등 점검
- 외출 시 필요한 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 의복, 위생용기 등 준비
- 노약자, 호흡기 질환자의 경우는 실외활동 자제
교육기관
(학교 등)
- 기상예보를 청취, 지역실정에 맞게 휴업 또는 단축수업 검토
- 학생 비상연락망 점검 및 연락체계 유지
- 맞벌이부부 자녀에 대한 자율학습 대책 등 수립
- 황사대비 행동요령 지도 및 홍보 실시
농가
(축사, 시설원 등)
- 가축이 활동하는 운동장 및 방목장의 가축 대피 준비
- 노지에 방치 혹은 야적된 사료용 볏짚 등에 비닐 등 피복물품 준비
- 동력분무기 등 황사세척용 장비 점검 및 정비
- 비닐하우스, 온실 등 시설물의 출입문 및 환기창 점검

 

황사발생 중(황사로 인한 미세먼지(PM10) 경보 및 황사특보(경보) 발령 시)

구분 주요내용
가정 - 창문을 닫고 가급적 외출을 삼가되, 외출 시 보호안경, 마스크를 착용하고 귀가 후 손과 발 등을 깨끗이 씻기
- 황사에 노출된 채소, 과일 등 농수산물은 충분히 세척한 후에 섭취
- 식품 가공, 조리시 철저한 손 씻기 등 위생관리로 2차 오염 방지
- 노약자, 호흡기 질환자의 경우 실외활동 금지
교육기관
(학교 등)
- 어린이집과 각급학교의 실외활동 금지 및 수업 단축 또는 휴업
농가
(축사, 시설원 등)
- 방목장의 가축은 축사 안으로 신속히 대피시켜 황사 노출을 방지함
- 비닐하우스, 온실 및 축사의 출입문과 창문을 닫고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가능한 적게 할 것
- 노지에 방치, 야적된 사료용 볏짚 등을 비닐, 천막 등으로 덮기

 

황사종료 후(황사로 인한 미세먼지(PM10) 경보 및 황사특보(경보) 해제 후)

구분 주요내용
가정 - 실내 공기의 환기 및 황사에 노출된 물품 등은 세척 후 사용
교육기관
(학교 등)
- 학교 실내외 방역 및 청소, 감기나 안질 등 환자는 쉬게 하거나 일찍 귀가 조치
농가
(축사, 시설원 등)
- 축사, 방목장 사료조 및 가축과 접촉되는 기구류 등은 세척 및 소독
- 황사에 노출된 가축은 황사를 털어낸 후에 구연산 소독제 등으로 분무 소독
- 가축 질병의 발생 유무 관찰 및 병든 가축 발견시 신고
- 비닐하우스, 온실 등에 쌓인 황사 제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