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삼 추출물 섭취한 참여자, 혈중 염증지표 186.7% 개선
농촌진흥청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산업체(알피바이오)와 3년간의 연구 끝에 인체적용시험을 거쳐 흑삼의 호흡기 염증 억제 효과를 밝히는 데 성공했다.
흑삼은 인삼을 3회 이상 찌고 건조해 만든 것이다.
농촌진흥청은 2023년 인삼산업법 개정을 완료해 흑삼 제조 방법과 표준화된 품질관리 방법을 규격화했다.
농촌진흥청은 경제적이고 안전한 흑삼 제조 방법을 개발, 농림축산식품부와 협의를 통해 '인삼산업법 시행규칙' 개정을 완료함으로써 흑삼의 제조방법 및 표준화된 품질관리 방법을 규격화했음
연구진은 호흡기에 불편을 느끼는 100명을 두 집단으로 나눠 각각 1일 0.5g의 흑삼 추출물과 위약을 12주간 복용하게 한 뒤, 호흡기 건강과 삶의 질 관련 지표를 평가하는 방식으로 시험을 진행했다.
호흡기 관련 질환은 호흡기 내 만성 염증과 호흡기관 손상을 동반하며, 오래 방치하면 만성기침과 가래를 유발해 삶의 질이 낮아질 수 있어 이 평가 지표를 활용했다.
그 결과, 흑삼 추출물 섭취군은 대조군보다 삶의 질 총점은 54.76%, 삶의 질 활동력 지수는 123.2% 향상됐으며, 체내 염증 정도는 186.73%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평가에는 호흡기 증상의 빈도, 호흡 곤란을 유발하거나, 호흡 곤란으로 제한받는 활동 정도, 사회적, 정서적 기능에 대한 전반적인 장애 정도를 예측할 수 있는 '세인트조지 호흡기 설문'을 사용했다. 또한, 체내 염증 개선 정도는 혈액 속에 적혈구가 가라앉는(침강) 속도로 평가하는 '적혈구 침강속도'로 검사했다.
- 세인트조지 호흡기설문(SGRQ) : 만성 폐쇄성 폐질환 등 호흡기 질환이 인간의 건강한 삶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된 설문지
- 적혈구침강속도 검사(ESR) : 체내에 존재하는 염증의 정도를 적혈구의 침강 속도로 측정하는 검사법으로, 염증성 질환이 있는 경우 적혈구의 침강 속도가 빨라짐
정부혁신 과제인 이번 연구는 앞서 진행한 동물실험에 이어 인체적용시험을 통해 흑삼이 호흡기 건강을 개선하는 새로운 건강기능식품으로써 자리매김할 수 있는 과학적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농촌진흥청은 앞으로 흑삼을 건강기능식품 원료와 천연 의약 소재로 개발하기 위한 후속 절차를 추진할 계획이다.
개발에 참여한 산업체(알피바이오)는 흑삼 추출물을 활용해 건강기능식품과 일반식품의 판매 체계를 구축하고 소비자에게 친숙하면서도 다양한 제형의 제품을 개발할 계획이라며, 홍삼 위주의 건강기능식품 산업을 흑삼으로 확장하는 데 힘을 쏟겠다고 전했다.
농촌진흥청은 현재 건강기능식품 원료시장에서 '호흡기 건강'으로 등록된 원료가 없어 인체적용시험까지 성공한 흑삼의 등록이 이뤄진다면 최초가 될 것이라며, 흑삼 관련 제품 소비가 활발해져 국내외 인삼 시장이 확대되고, 인삼 농가가 다시 활짝 웃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흑삼 제조공정 표준화
- 3증숙 이후부터 지표성분인 진세노사이드 Rg3, Rk1, 및 Rg5가 일정 수준 이상 생성
- 증숙 후, 건조 때 낮은 온도(55℃) 적용으로 벤조피렌 함량 최소화 적용
- 인삼산업법상 흑삼 고유 외형지표인 담흑갈색 또는 흑다갈색은 3증숙 이후부터 색깔이 나타남
본 인체적용시험에 사용된 흑삼 추출물은 농촌진흥청에서 개발한 흑삼 제조기술을 활용해 제조되었으며 인삼을 3~4회 찌고 건조함으로써 유효 성분 함량과 안전성을 확보하였음
'건강정보 > 도움이되는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기생, 부처손 등 식용불가 농산물, 임산물 섭취 주의 (0) | 2024.05.23 |
---|---|
발효 황기 인지능 장애 개선, 장내 미생물 개선 효과 확인 (0) | 2024.05.21 |
버려지던 양파껍질이 면역력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낮추는 효과 밝혀져 (1) | 2024.05.02 |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리그난이 많은 참깨, 흰무늬엉겅퀴, 오미자에 풍부 (0) | 2024.04.08 |
갯기름나물 새순의 항염증 효과, 세포 실험 결과 새순 추출물 염증 인자 발현 낮춰 (0) | 2024.0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