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청은 2022-2023절기 '한랭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결과, 전년 동기간 대비 34% 증가한 251명이 신고되었다고 밝혔다.
또한, 설 연휴 마지막 날(1월 24일)부터 기온이 급격히 떨어져 강추위가 예보됨에 따라 한랭질환에 대한 주의를 당부하였다.
한랭질환은 추위가 직접 원인이 되어 인체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질환으로, 저체온증, 동상, 동창이 대표적이다.
한랭질환자 중 가장 많이 신고된 질환은 저체온증으로 전체 환자 중 69%를 차지했고, 연령대별로는 80세이상 고령층(25%)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절기 현재까지 신고된 한랭질환 사망자는 총 10명으로, 모두 저체온증 추정으로 사망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추정 사망자 대부분(9명)은 기저질환을 가진 65세 이상 연령대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나, 한파 시 노년층의 한랭질환 주의가 특히 필요하다.
질병관리청은 한랭질환이 사전에 적절한 조치로 예방할 수 있으므로, 한파 대비 건강수칙을 준수해 줄 것을 당부하며, 특히 설 연휴 마지막 날부터 전국 곳곳에 강추위가 예상되므로 한파에 취약한 고령층, 기저질환자, 노숙인, 어린이, 실외작업자 등에 대한 각별한 주의와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 하였다.
한파 대비 건강수칙
외출 전
날씨정보(체감온도 등)를 확인하고 추운 날씨에는 가급적 야외활동을 줄인다.
외출 시
내복이나 얇은 옷을 겹쳐 입고 장갑, 목도리, 모자, 마스크로 따뜻하게 입는다.
추운 날씨에 옷과 신발이 젖었을 때에는 신속히 마른 옷과 신발로 교체한다.
생활 습관
가벼운 실내운동, 적절한 수분섭취와 고른 영양분을 가진 식사를 한다.
실내 환경
실내는 적정온도를 유지하고 건조해지지 않도록 한다.
한파 관련 특히 주의가 필요한 경우
어르신과 어린이
일반 성인에 비해 체온을 유지하는 기능이 약하므로 한파 시 실외활동을 자제하고 평상시와 외출 시에 보온에 신경써야 한다.
만성질환자(심뇌혈관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
급격한 온도 변화에 혈압이 상승하고 증상이 악화되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추위에 갑자기 노출되지 않게 주의하고 무리한 신체활동을 피한다.
음주
술을 마시면 신체에 열이 올랐다가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지만 추위를 인지하지 못하여 위험할 수 있으므로 추운 날씨에는 음주를 피한다.
낙상(노인, 영유아, 퇴행성관절염과 같은 만성질환자)
빙판길, 경사지거나 불규칙한 지면, 계단을 피해 가급적 평지나 승강기를 이용하고, 장갑을 착용하여 주머니에서 손을 빼고 활동한다.
한랭질환
추위가 직접 원인이 되어 인체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질환
구분 | 주요 내용 |
저체온증 | 심부체온이 35도 미만으로 떨어지는 상태 - 주요증상 : 오한, 기억장애, 피로, 언어장애, 의식혼미 - 응급조치 - 환자가 의식이 없는 경우 119에 신고하고 따뜻한 곳으로 옮기기 - 젖은 옷은 벗기고 담요나 침낭으로 감싸주기 - 핫팩이나 가열패드 사용 시 피부화상 주의하기 - 의식이 있는 경우 따뜻한 음료로 몸 녹이기, 다만 의식이 없으면 마시게 하는 것은 위험 |
동상 | 강한 한파에 노출되어 피부 및 피하조직이 동결하여 조직이 손상되는 것 - 주요증상 : 비정상적으로 단단해지는 피부촉감, 피부감각 저하, 흰색이나 누런 회색으로 변하는 피부색 - 응급조치 - 최우선으로 신속히 병원으로 이송하기 - 환자를 따뜻한 환경으로 옮기기 - 동상부위를 따뜻한 물(38~42도)에 20~40분간 담그기 - 얼굴, 귀에 따뜻한 물수건을 대주고 자주 갈아주기 - 손가락, 발가락 사이에 소독된 마른 거즈 끼우기 - 부종 및 통증 완화를 위해 동상부위를 약간 높게 하기 - 조직 손상 악화 방지를 위해 다리, 발 동상 환자는 들덧으로 운반하기 |
침수병, 침족병 |
10도 이하 냉수에 손과 발을 오래 노출시키면 생기는 질환 - 주요증상 : 가렵거나 무감각하고 저린듯한 통증 발생, 발이 부어보이며 피부색 변화(파란색 혹은 검은색), 물집이 생기거나 조직 괴사 혹은 피부 궤양 형성 - 응급조치 - 젖은 신발, 양말, 장갑은 벗어서 제거하기 - 추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 손상부위를 따뜻한 물로 조심스럽게 씻은 후 건조시키기 |
동창 | 저온 다습한 상태에서 가벼운 추위에 지속적으로 노출 시 나타나는 피부와 피부조직의 염증반응 - 주요증상 : 국소부위 가려움, 따뜻한 곳에서 심해지는 가려움, 울혈/물집/궤양 등 발생 가능 - 응급조치 - 따뜻한 물에 언 부위를 담가 서서히 피부를 따뜻하게 하기 - 동창 부위를 살살 마사지하여 혈액순환을 유도하고 긁지 않기 - 동창 부위를 청결하게 하기 |
'질병정보 > 질병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름엔 특히 병원성대장균 식중독 주의 (0) | 2023.06.16 |
---|---|
말라리아 환자 전년 대비 3.3배 증가, 위험지역 거주 및 여행 시 예방수칙 따르기 (1) | 2023.06.15 |
영유아 '사람 메타뉴모바이러스 감염증' 유행 주의, 예방수칙 준수 (0) | 2022.10.14 |
영유아 수족구병 환자 예방수칙 준수 및 위생관리 당부 (0) | 2022.10.02 |
영유아 노로바이러스, 장내 아데노바이러스 감염 증가 등 예방수칙 중요 (0) | 2022.10.02 |